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7

이탈리아 이외의 오페라 영국 오페라 영국의 오페라도 독특하게 전개되었다. 이탈리아가 새로운 표현법을 획득하여 눈부신 기세로 오페라를 발전시키고 있던 17세기 전반, 영국에서는 공화정이 실시되어 청교도들에 의해서 음악이나 연극은 눈에 띄게 탄압을 받았다. 극장은 파괴되고 음악회의 수도 줄어들어, 1660년경에 그토록 활발하던 음악 활동도 표면적으로는 정지해 버린 듯한 감이 있었다. 그렇긴 하지만 프랑스의 궁정 발레를 모방하여 16세기말에 생겨난 음악극 마스크(masque)의 전통은 면면이 계승되고 있었다. 1660년, 왕정 복고 시대에 접어들어 음악 활동의 자유가 허용됨에 따라 영국 음악은 잠깐이긴 하지만 한꺼번에 꽃피게 된다. 사람들은 갈증을 풀 듯이 이탈리아나 프랑스의 새로운 음악을 수입, 자기 나라 나름대로 변용시켜 갔다... 2023. 3. 30.
이탈리아 오페라 (2) 베네치아 오페라 오페라는 점차 가지로 확산되어 갔으며, 지지층도 두터워졌다. 1613년에 몬테베르디가 베네치아의 산마르코 대성당에 부임한 후로는 베네치아는 오페라의 중심지가 되었고, 17세기말까지 흔들리지 않는 확고부동한 자리를 차지하였다. 베네치아의 오페라는 몬테베르디가 죽은 후에 그의 사랑하던 제자들인 피에트로 프란체스코 카발리와 마르크 안토니오 체스티 등에 의해서 계승되었다. 그들은 말의 요소가 남아있는 종래의 음악을 이야기의 진행을 전해주는 *레치타티보(소재물)와 등장인물의 심경을 노래하는 한결 더 서정적인 아리아로 점차 분리시켜갔다. 그 결과 오페라는 서서히 음악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 합창보다도 기교적인 *패시지를 삽입한 독창 아리아를 주제로 삼게 되고, 또 그 아리아를 노래하는 *카스트라.. 2023. 3. 26.
이탈리아 오페라 (1) 이탈리아 오페라 '바로크'에로의 움직임은 이미 16세기 후반부터 이탈리아에서 비롯되었다. 당시 이탈리아는 고대 그리스의 문예 부흥 운동이 한창이었으며, 각지에 아카데미아라고 일컫는 그룹이 많이 생겨나 활발한 논의를 전개하고 있었다. 1580년경 피렌체의 귀족 바르디 백작의 저택에서도 르네상스의 영향을 받은 문인이나 음악가들이 모여들어 고대 그리스 비극의 부흥이나 음악이 어떠 해야 할 것인가를 둘러싸고 논의가 이루어졌다. 카메라타(Camerata)'라고 불리던 그들 은 당시 폴리포닉하게 구성된 음악에서는 몇 개의 소리가 동시에 복잡하게 뒤얽혀 가사를 분명히 알아들을 수 없다고 비난하며 성악곡인 이상, 가사가 명료하게 전달되고 또 가사의 내용에 따른 음악적 표현이 이루 어져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그 결과 고.. 2023. 3. 26.
바로크 음악이란 바로크란 음악사에 있어서 1600년 무렵부터 1750년 정도까지는 일반적으로 '바로크 시대'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르네상스 • 로코코처럼 시대 양식을 나타내는 말과 마찬가지로 이 말도 미술사에서 빌려 쓴 것이다. 그러면 도대체 '바로크'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또 1600년부터 약 1세기 반에 걸친 음악을 미술사의 예에 따라 '바로크'라는 말로 이해해도 좋다면, 그럼 왜 하필 바로크인가. '바로크( Baroque)'의 어원에 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커다랗지만 일그러진 진주를 뜻하는 포르투갈어 바로크가 기원이라는 설과, 왜곡된 삼단 논법을 뜻하는 이탈리아어 바로크에서 유래한다는 설이다. 이 말 뜻은 어울리지 않는, 괴상한, 억지인, 과장된, 악취미인 것 등의 본래는 소극적인 성질을 가리키는 말인데, .. 2023.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