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속음악2

세속음악 (2) 마드리갈레 그러나 16세기에 들어서자 *프로톨라에도 폴리포니 기법이 도입되어 얼핏 보기에 모테트와는 별 차이가 없는 구성을 취하게 되고, 가사도 문학적으로 격조 높은 표현이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생긴 것이 *마드리갈레다. 마드리갈레를 육성한 곳은 주로 사교계나 지식인들의 모임인 아카데미아였다. 따라서 마드리갈레 작곡자들은 이탈리아어의 가사 내용을 어떻게 음악으로 충실하게 그려내는가를 신경을 쓰기 시작했다. 그들은 대담한 불협 화음이나 반음계법을 사용해서 가사를 사실적으로 표현했는데 그 결과 매우 신선한 음악이 탄생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17세기 초가 되자 언어와 밀착된 표현을 지향하는 자세는, 르네상스 시대의 특징이기도 한 폴리포니 양식에서 벗어나 독창 성부와 단단한 화음을 수반하고 그것을 뒷받.. 2023. 3. 26.
세속음악 (1) 플랑드르 음악 15,6세기의 음악의 중심은 어디까지나 플랑드르 악파의 폴리포니 기법에 의한 종교음악이었으며, 작곡가 및 이론가의 기초 지식은 종교 음악에 있었지만 그와 동시에 세속음악도 큰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음악가는 교회의 성가대나 왕후 귀족의 사적인 예배당에 적을 두고 공식적으로는 교회 음악가 또는 궁정 음악가로 행세했지만, 종교 음악은 말뿐이고 왕후 귀족의 오락을 위한 음악을 작곡해야만 했다. 그리고 중산 계급의 대두와 도시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서 시민을 위한 음악도 제공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한편, 도시에는 시민의 행사를 위한 음악대가 조직되어 상류 계급에 고용되어 있지 않더라도 악기를 잘 연주하고 노래를 잘 부르는 사람들이 많이 나타났다. 교양으로서의 음악은 결코 지식인에 한정된 것이 .. 2023. 3. 26.